울산 90.56%·부산 92.08%·경남 87.22%로 누적득표율 90.89%로 압승
경남 남해출신 김두관, 경남서만 11.67%…울산 8.08%·부산 7.04% 그쳐
최고위원 레이스 나선 김민석, 정봉주 제치고 부울경 1위…누적 2위로 급상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 대표 후보가 21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당 대표·최고위원 후보자 합동연설회에서 주먹을 쥐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 대표 후보가 21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당 대표·최고위원 후보자 합동연설회에서 주먹을 쥐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박상현 기자] 아직 권리당원 투표이긴 하지만 이재명 전 대표의 연임은 확정으로 가는 분위기다. 이재명 전 대표는 부산, 울산, 경남에서도 90% 득표율을 기록하며 대표 연임에 한발짝 가까이 다가섰다.

더불어민주당 당권 경선에 나선 이재명 후보는 27일 울산 문수체육관, 부산 벡스코, 창원컨벤션센터 등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전국당원대회 울산, 부산, 경남 지역 합동연설회에서 권리당원 온라인투표에서 누적 투표율 90%대를 다시 기록하며 압승을 거뒀다.

이재명 후보는 울산에서 90.56%, 부산에서 92.08% 득표율을 기록했다. 경남 남해 출신의 김두관 후보가 11.67%의 득표율을 올리면서 이재명 후보의 경남지역 득표율을 87.22%로 약간 떨어졌지만 부울경 누적 득표율은 90.89%에 달했다.

특히 이재명 후보는 제주, 인천, 강원, 대구·경북에서 열린 합동연설회에서도 누적 투표율 91.7%를 기록한데 이어 부산, 울산, 경남에서도 다시 한번 90%대 득표율을 기록함으로써 파죽지세로 대표 연임을 굳히고 있다.

반면 이재명 일극체제를 줄기차게 비판해온 김두관 후보는 반전 기대를 모았던 자신의 안방인 경남에서도 10%대의 득표율에 그쳤고 울산 8.08%, 부산 7.04%에 그치며 누적 투표율 8.02%에 머물렀다.

김지수 후보는 울산 1.36%, 부산 0.89%, 경남 1.11%로 누적 투표율 1.09%를 기록했다.

이재명 후보는 이날 마지막으로 열린 경남 경선 후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당원 여러분들이 내게 큰 짐을 지워주는 것으로 생각하고 큰 책임감을 느낀다"는 소감을 전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당 대표 후보가 21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당 대표·최고위원 후보자 합동연설회에서 정견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당 대표 후보가 21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당 대표·최고위원 후보자 합동연설회에서 정견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두관 "개딸들이 당 점령…이래선 대선·지선 못 이겨", 이재명과 신경전

김두관 후보는 이재명 후보와 신경전을 계속 이어갔다.

김두관 후보는 부산 합동연설회에서 "당내 소수 강경 '개딸'들이 당을 점령했다. 차기 대선과 지방선거를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며 "당내 다양성과 민주성을 지켜 지방선거와 대선에서 이기겠다"고 말했다. 김두관 후보의 연설이 끝난 뒤 이재명 후보 지지층으로부터 야유가 이어지기도 했다.

이재명 후보는 "정당이란 다양성이 본질이다. 많은 사람이 각자 주장하고 입장 차이가 있으면 토론을 통해 결론을 내고 이에 따르면 된다"며 "하나로 뭉쳐 지방선거와 대선에서 승리하자"고 지지를 호소했다.

김민석, 부울경 선전으로 누적투표율 2위로…선두 정봉주 추격

한편 8명의 후보 가운데 5명을 뽑는 최고위원 경선에서는 김민석 후보가 선전을 펼치며 누적 득표율 순위에서 2위로 뛰어올랐다.

김민석 후보는 울산에서 20.05%, 부산 21.51%, 경남 19.7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지난주 강원, 인천, 대구, 경북에서 누적 득표율 선두를 달렸던 정봉주 후보(울산 16.10%, 부산 17.63%, 경남 16.99%)를 모두 앞섰다. 누적 득표율에서는 정봉주 후보가 19.68%로 여전히 선두를 지켰지만 김민석 후보가 부울경 선전으로 16.05%가 되며 단숨에 2위로 뛰어올랐다. 김민석 후보는 지난주까지만 하더라도 정봉주 후보는 물론 김병주, 전현희 후보에도 밀린 4위에 그쳤었다.

지난주까지 2위였던 김병주 후보는 울산 13.13%, 부산 12.76%, 경남 13.03%로 누적 득표율 14.76%로 3위로 내려갔고, 전현희 후보(울산 13.96%, 부산 11.12%, 경남 12.81%)는 누적 득표율 13.13%를 기록하며 4위가 됐다.

줄곧 커트라인인 5위를 달리고 있는 이언주 후보는 울산 12.23%, 부산 11.78%, 경남 11.83%로 누적 득표율 12.11%를 기록하며 여전히 5위를 지켰지만 6위를 달리고 있는 한준호 후보의 맹추격에 고전하고 있다.

한준호 후보는 울산 12.84%, 부산 13.83%, 경남 13.77%로 부울경에서 모두 이언주 후보보다 높은 득표율을 기록, 누적 득표율 11.81%가 됐다. 두 후보의 격차는 0.30%포인트에 불과하다. 

강선우 후보와 민형배 후보는 누적 득표율 6.32%와 6.14%에 그치며 7, 8위에 머물렀다.

합동연설회 및 지역 순회 경선은 28일 충남북에서 열리고 다음달 3일과 4일에는 전북과 광주·전남에서 이어진다. 다음달 10일과 11일에는 경기와 대전·세종에서 열리고 다음달 17일 서울 일정을 끝으로 지역 순회 경선 막을 내린다. 전당대회는 다음달 18일에 열린다. 

이번 전당대회에서는 권리당원 56%, 대의원 14%, 일반 여론조사 30%를 반영해 대표 1명과 최고위원 5명을 선출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