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무성 대변인 담화 "비핵화는 美의 근시안적인 목표"
외교부 "北 완전한 비핵화가 국제사회 일치된 목표"
G7외교장관 "北 완전·검증가능·불가역적 비핵화해야"

김정은, 핵물질 생산기지·연구소 현지지도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핵물질 생산기지·연구소 현지지도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북한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담은 한미일 외교장관 공동성명에 대해 "불가능하고 비현실적"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하지만, 한미일뿐만 아니라 G7 외교장관들도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지지하는 성명을 내며 북한에 대한 압박에 동참했다.

외무성 대변인 담화 "비핵화는 美의 근시안적인 목표"

앞서 조태열 외교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은 15일(이하 현지시각) 뮌헨안보회의 참석을 계기로 3국 외교장관회의를 가진 뒤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북한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3국은 성명은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암호화폐 탈취를 포함한 악성 사이버 활동, 러시아와 군사 협력 증가에 대한 심각한 우려와 공동 대응 필요성을 표명했다"며 "각국 본토에 대한 어떠한 도발이나 위협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력 경고했다"고 밝혔다. 

그러자 북한은 18일 "앞으로도 국가수반이 천명한 새로운 핵무력 강화노선을 일관하게 견지해나갈 것"이라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첫 입장을 냈다. 

대변인은 담화에서 "조선반도와 지역에서의 집단적 대결과 충돌을 고취하는 미일한의 모험주의적 망동에 엄중한 우려를 표시"한다며 '비핵화'를 "미국의 근시안적인 목표"라고 규정했다.

이어 "(북한 비핵화는) 현실적으로 볼 때 실천적으로나 개념적으로마저도 이제는 더더욱 불가능하고 비현실적"이라며 미국이 "낡고 황당무계한 계획을 추구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표현마저도 기억에서 삭막해진 '비핵화'라는 실패한 과거의 꿈에서 깨여나지 못한 미국의 현실도피적인 입장에 대하여 맞대응할 일고의 가치도 없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공식입장"이라고도 했다.

대변인은 핵무력 강화노선은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의 적대적 위협이 존재하는 한 우리에게 있어서 핵은 곧 평화이고 주권이며 국가헌법이 부여한 정당방위수단"이라며 "적대국들의 그 어떤 도발과 위협도 압도적이고 결정적인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강력히 경고한다"고 덧붙였다.

외교부 "北 완전한 비핵화가 국제사회 일치된 목표"

G7외교장관 "北 완전·검증가능·불가역적 비핵화해야"

북한의 반발 성명에 대해 외교부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는 국제사회의 일치된 목표"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정례브리핑에서 "이는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로 확인된 것"이라며 "북한은 결코 핵 보유를 인정받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변인은 "북한이 한반도와 전 세계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불법적인 핵·미사일 개발과 도발을 중단하고 비핵화의 길로 복귀할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라며 "핵·미사일 개발은 오히려 스스로의 안보와 경제 발전을 저해할 뿐이라는 점을 자각하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주요 7개국(G7)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외교장관 회의에서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 원칙을 재확인했다.

미국·일본·영국·캐나다·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 7개국 외교장관은 15일 성명에서 "모든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모든 핵무기, 기존 핵 프로그램 및 기타 대량살상무기(WMD)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방식으로 포기할 것을 북한에 요구했다"고 밝혔다.

성명은 또 "G7 구성원들은 북한의 핵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