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100개 수련병원 중 55%가 사직서 제출
"근무 이탈자 세브란스병원, 성모병원 등 많아"

20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가 이송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0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가 이송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양성모 기자] 전국 각지에 있는 병원에서 전공의들이 6000명 넘게 사직했으며 현장으로 복귀하라는 업무개시명령은 총 831명에게 내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19일 오후 11시 기준 주요 100개 수련병원을 점검한 결과, 이들 병원의 소속 전공의 55% 수준인 641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복지부가 10개 수련병원 현장을 점검한 결과 총 1091명(19일 오후 10시 기준)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고, 이 가운데 757명이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728명에 대해 새로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했다. 앞서 복지부는 기존에 이미 103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바 있다.

주요 100개 수련병원에는 전체 전공의 1만3000명의 약 95%가 근무하며, 사직서 제출자의 25% 수준인 1630명은 근무지를 이탈했다. 각 병원은 이들이 낸 사직서를 수리하지는 않았다. 업무개시명령에도 복귀하지 않는 경우 면허 정치 행정처분이 처해진다. 다만 복지부는 병원별 전공의 이탈 현황은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전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브리핑에서 "근무지 이탈자는 세브란스병원, 성모병원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고, 나머지 병원에서는 이탈자가 없거나 소수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과거 주요 의대 정원이 현행보다 많았던 만큼, 의대생 2000명을 늘려도 의학 교육의 질이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1980년대 기준 서울대 의대 정원은 260명이었으나, 현재는 135명이다. 같은 기간 부산대는 208명에서 125명, 경북대는 196명에서 110명으로 줄었다.

또 서울대 의대의 경우 1985년에 비교했을 때 지난해 기초교수는 2.5배, 임상교수는 3배로 늘었다.

임상강사·전임의는 이에 대한 입장문을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를 통해 밝히면서 "정부에서 발표한 정책은, 현재 낮은 필수의료 수가 및 비정상적인 심평원 심사 기준 진료 등 의료계의 현실과 고령화 및 저출산으로 야기될 앞으로의 대한민국 보건현실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사안이 단순히 의대정원 증원의 문제로 치부되고 있다"며 "복지부에게 의료인에 대한 협박과 탄압을 중단하고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보건 정책을 위한 의사들과의 진정한 소통을 시작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진료보조(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 투입 방침에 대해선 불법 논란이 있었다며 선을 그었다. 박 차관은 중수본 브리핑에서 "정부가 불법을 저질러 가면서까지 추진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수본은 전날 제12차 회의에서 필수진료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권역·전문응급의료센터 등의 응급의료 행위, 응급의료 전문의 진찰료 수가 등을 100%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한편 김택우 의협 비대위원장과 박명하 조직위원장은 의사면허 자격정지 행정처분 사전통지서를 전날 수령했다. 의협 비대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김택우, 박명하 2인은 보건복지부의 면허정지처분을 결단코 받아들일 수 없다"며 "법적 절차에 따라 행정소송 등을 통해 끝까지 다툴 것"이라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