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집단행동 교사금지 명령' 위반한 혐의
김택우 의협 비대위원장·박명하 조직강화위원장에게 발송
![복지부, 전체 전공의에게 진료 유지명령 "의협 발언, 충격·참담"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2/635778_439283_307.jpg)
[폴리뉴스 양성모 기자] 정부가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집행부 2명에 의사 면허정지 행정처분에 대한 사전통지서를 발송했다.
20일 의료계와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들은 의사들의 '집단행동 교사금지 명령'을 위반한 혐의로 행정처분 대상이 됐다. 복지부는 내달 4일까지 당사자의 의견을 제출받은 뒤 집단행동 교사금지 명령을 위반한 것으로 결론나면 면허정지 처분을 내릴 계획이다. 일부 매체에서는 현재 김택우 의협 비대위원장(강원도의사회장)과 박명하 조직강화위원장 등 의협 지도부 2명에게 면허정지 행정처분 사전통지서가 발송된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의협 비대위 집행부에게 정부가 예고한 대로 법적 조치가 내려진 첫 사례다.
사전통지는 당사자에게 집단행동 교사금지 명령을 위반했다는 사실과 행정처분 예정을 알리고, 당사자로부터 충분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조치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 6일 의대 증원 발표 이후 의협이 총파업 등 집단행동 조짐을 보이자 의료법 제59조에 따라 집행부를 상대로 '집단행동 및 집단행동 교사 금지 명령'을 내린 바 있다.
의료법 59조는 의료인이 정당한 사유 없이 진료를 중단하거나, 의료기관 개설자가 집단 휴업해 환자 진료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면 복지부 장관이나 지체장이 의료인이나 의료기관 개설자에게 업무개시 명령을 할 수 있게 규정한다.
복지부는 명령을 위반해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위협을 주는 불법행위에 대해 행정처분과 고발 조치 등 '법에서 규정한 모든 제재'를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집단행동 및 집단행동 교사 금지 명령'을 위반할 경우 의료법에 따라 1년 이하 면허정지 또는 3년 이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이때 형법상 '업무방해죄' 또는 '교사·방조범'으로 판단되면 5년 이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할 수도 있다.
이처럼 업무개시명령 위반으로 금고 이상의 형에 처하면 지난해 개정된 의료법에 따라 의사 면허가 취소 될 수 있다. 의료법에서 의료인은 모든 범죄에 대해 금고 이상의 형 선고 시 최대 10년까지 면허취소가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2000년 의약분업 당시 의협 회장이 의료기관에 휴진을 강요한 데 따른 업무개시명령 및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의사 면허가 취소된 바 있다.
한편 의협 비대위는 보건복지부의 면허정지 취소처분 사전통지에 대해 입장문에서 "보건복지부의 협박성 추태에 개의치 않을 것"이라며 "이런 무고한 처벌은 우리의 투쟁을 더욱 견고히 할 뿐"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이슈] 전공의 대규모 이탈, 의료대란 시작.. 야권, 갈등중재 해법 촉구 "지나친 의대 정원 확대 정치쇼"
- 의협 "정부가 의사 악마화해 마녀사냥" 유감 표명
- 의협 비대위 "전공의·의대생 피해 발생시 '감당 어려운 행동' 돌입"
- [이슈] '빅5병원 근무중단’에 내부 비판 커져…한덕수 “국민생명 볼모 안돼”
- [이슈] 빅5병원 전공의, 19일까지 집단사직 "의료대란 임박".. 정부 "비상진료 체계 구축"
- 의협 "의대 증원 막아내겠다… 17일 투쟁방안 결정"
- 대통령실 앞 '함성' 외친 의사들… "의대 증원 원점 재논의"
- 의사단체 오늘 전국서 궐기대회 '잇따라'… "동시다발 집회"
- [이슈] 의대 증원 후폭풍, '전공의 사직' 본격화.. 정부, 엄정대처 원칙 속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제안
- 복지부 "전공의 파업 시 비대면진료 확대·PA간호사 활용"
- [이슈] 정부 "의대 증원 강행한다"..."2천명도 부족" "불법행위 엄정 대응".. 총파업 예고 전공의 '신중모드'
- [이슈] '의대 증원' 의료계, 설연휴 뒤 총파업 등 집단행동 예고.. 정부 "업무복귀 안하면 면허 박탈" 강경 대응
- '의료 파업'에 정부 '타협은 없다'…"업무복귀 안 하면 면허 박탈"
- [이슈] 정부, 내년 대입 의대 정원 2천명 확대 "2035년까지 1만명 추가".. 지역공공의대는 빠져
- [이슈] 정부, 6일 의대증원 최대2천명 규모 발표할 듯…의료계 '파업' 경고, 강력 반발
- [이슈] 정부, 2025년 의대 입학 정원 최대 2000명 증원 전망.. 총선 전 의사단체 반발 넘어설까?
- 의사와 '다른' 국민 여론…"국민 89% 의대증원 찬성…86% 파업 안돼"
- [이슈] 전공의 55% 6415명 사직·1630명 근무지 이탈 "의료대란 현실화".. 강대강 대치에 국민만 피해
- [이슈] 의대증원 규모, 2025학년 입학부터 정부 ‘2000명’ vs 의과대 ‘350명’ 주장 맞서
- 복지부 "전공의 6000명 넘게 사직… 831명 업무개시명령"
- 9275명 전공의 사직서 제출… 정부와 의료계 첫토론, 자기주장 '고수'
- [이슈] 병원 떠난 전공의 1만명대 육박.. 정부, 의료대란 강공책만 '면허정지, 구속수사' 천명
- 의협 "의대 증원 방침 근거 없어… 국민 호도 말라"
- 정부, 비대면진료 전면 확대… 의협 "황당함 금치 못해"
- 의협 비대위, 정부에 의대 증원 원점 재논의·원점 재검토 촉구
- 의협 비대위 "29일까지 전공의 병원 복귀 명령한 정부, 폭력적"
- [이슈] 전공의 사직 1만명 넘어, 의료대란 심화 "3월 최대위기".. 정부 "29일까지 복귀 처벌안해" 최후통첩
- 정부, 의료사고 처벌 면제 법안 제정 가속도… 당근과 채찍 통할까
- [이슈] 정부, 전공의 향해 "오늘 만나자" 대화 시도.. 29일 마지노선 미복귀시 '고발 준비' 완료
- [이슈] 전공의 집단사직 보름째, 의대교수들도 삭발·사직 반발.. 정부 "미복귀 전공의 7000명 행정처분" 강행
- [전문] 윤 대통령 "의사 불법행동, 법치주의 흔들어…법·원칙 따라 엄중대응"
- [전문] 윤 대통령 “의대 정원 증원, 의학교육 질 떨어진다는 것 타당치않아...전문의 중심 재편할 것”
- [이슈] 전공의 92.9% 이탈‧의대 교수들 사직…정부 강행, PA간호사 법제화 추진‧전국 20개 의료기관에 군의관 파견
- [이슈] 서울의대 교수협 "18일 집단사직".. 尹 "원칙대로 신속추진" 정부 "국민 납득 어려워"(종합)